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방송문화진흥총서

방송문화진흥회에서는 방송 및 방송문화와 관련해
우수한 저술, 번역활동을 지원해 방송문화총서를 발간합니다.
제목 [총서246] 웹3 기술과 민주주의
출간일 2024.12.06 조회수 306 번호 245
첨부파일 표지 홈피용.jpg 저자 박한우
[총서246] 웹3 기술과 민주주의 표지

<차  례>


1부 인터넷, 중앙에서 벗어나기

1장 인터넷의 중앙 집중화와 문제점
디지털 자본주의와 시장 구조의 변화
디지털 민주주의와 데이터 접근성
GAFA연합군의 등장과 글로벌 인터넷 독점
데이터 식민주의와 디지털 자본주의의 고도화
빅테크의 독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유럽연합의 정책적 대응
사례 분석: 아마존의 아이로봇 철회
인식론적 권리 구축과 ‘코드가 법이다’

2장 패러다임의 전환과 웹3 탄생
블록체인: 기술적 작동 원리 및 동향
서티파이에서 베리파이 알고리즘으로
레이어의 계층별 구조와 사례 및 지향점
개발자 현황으로 살펴보는 글로벌 동향
시대별 구조 및 주제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의 특성화
웹3의 등장과 진화
웹1에서 웹2를 거쳐 웹3 시대로
웹3를 통한 민주적 인터넷 생태계의 조성
웹3가 가져올 미래의 변화와 도전

3장 블록체인의 설계 방식과 탈중앙화
분산적 인터넷에 대한 개념적 논의
토큰화와 불역성에 따른 관점
중앙 집중주의 대 탈중앙 분산화
메리토크라시 대 플루토크라시
사례 분석, 읽을거리, 생각거리
사례 분석: 헬륨과 플로키 이누
읽을거리: 부테릭이 말하는 메리토/플루토크라시
생각거리: 탈중앙화로 진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가

2부 가상자산 등장이 낳은 논점

4장 가상자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신기술이 낳은 사회적 혼란과 대립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론
새롭게 등장한 계층 간, 토큰 간 갈등
한국에서 나타난 김치 프리미엄
독점으로부터 자유로운 세상을 위하여
디지털 자유주의: 월가를 점령하라
14 웹3 기술과 민주주의
비트코인의 독점화 및 집중화 현상
읽을거리: 레딧의 토큰화 시도
사례 분석: 탈중앙화의 딜레마 사례
메이커DAO
스팀잇과 하이브
지분증명의 탈중앙화 이슈

5장 NFT 등장과 소버린 체인
NFT에 대한 이해와 기능 및 역할
NFT의 개념 정의와 다양한 관점들
NFT의 급속한 성장과 이슈 및 문제점
NFT와 공동체 참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탐구
NFT 및 PFP와 문화적 국가주의
프로필 사진(PFP) NFT 사례 분석
NFT-PFP 국가주의와 K-콘텐츠 전략
AI 주권의 등장과 소버린 체인의 필요성
사례 분석: 스포츠의 초개인화와 팬토큰 거버넌스
스포츠에 불고 있는 팬토큰과 NFT
팬토큰과 NFT의 확산이 스포츠를 초개인화로 이끌다

3부 웹3 기술과 민주주의

6장 DAO를 통한 공중의 참여
웹3 기술로 탄생한 자율적 커뮤니티
DAO의 등장과 개념적 유형
DAO를 둘러싼 이론적 관점들
DAO의 유형과 사례들
DAO의 작동 원리와 목적 지향 토큰
시티DAO와 컨스티튜션DAO의 등장과 이해
보건 및 의료 분야 DAO의 유형과 특징
DAO를 둘러싼 이슈와 미래 전망
DAO에 대한 법·제도 현황
미국의 FIT21과 탈중앙화
새로운 사이버 문명의 설계를 위하여
대의 민주주의에서 직접 민주주의로
수평적, 개방적, 분산화된 혁신
정책 제안: DAO를 활용한 여론조사

7장 웹3 기술과 민주주의를 향하여
웹3 공간에서 디지털 격차와 리터러시
가상자산과 NFT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움직임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구축과 가이드라인
사례 분석: 오픈씨 스캠 이메일과 이용자 커뮤니티
웹3 기술과 크립토 민주주의의 현재
탈중앙화된 인터넷과 새로운 민주주의
웹3 기술이 해결해야 할 과제
마무리: 소버린 체인 능력 구축

다음글 [총서242] 한국 방송 정치보도 vs 미국 방송 정치보도 2024-11-12
이전글 [총서244] 라디오 다큐멘터리로 바라본 세상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