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제목 |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 ||||
---|---|---|---|---|---|
게시일 | 2024.07.16 | 조회수 | 757 | 번호 | 171 |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다운로드05. 정회경, 현기택, 최효진.pdf | ||||
■ 연구명 :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 연구자: 정회경(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교수), 현기택(MBC 뉴스영상2팀), 최효진(한국외대 정보기록학연구소 책임연구원) 본 논문의 목적은 방송사의 공적 역할 강화와 영상창작 활성화의 관점에서 미
디어 테트라드 4단계를 중심으로 방송사 아카이브 공개와 활용의 효과를 분석
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에 공공 방송영상아카이브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
존 방송사의 아카이브가 외부 창작자에게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방
송사가 자사 아카이브를 영리적으로 개방해 외부 창작자들과 공유하는 효과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국⋅공립 기관의 방송영상아카
이브 플랫폼을 선정해 기관 운영, 플랫폼에 공개된 콘텐츠, 플랫폼의 기능요건
및 서비스 품질 등을 살펴보았다. 아카이브 플랫폼은 설립 배경, 운영 연차, 창작자들의 이용률 등을 기준으로 해외 3개 플랫폼, 국내 2개 플랫폼을 대상으
로 조사했다.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한정적인 콘텐츠와 단순화된 기능요건
의 아카이브 플랫폼에서 방송사의 영상자료가 외부에 개방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향후 대안적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테트라드 모델을 토대로 방송영상아카이브의 미래
를 살펴보는 심층인터뷰를 국내 아카이브 플랫폼 운영자 및 이용자 8명을 대상
으로 진행하여, 방송영상아카이브가 하나의 미디어 시스템으로 등장해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장⋅퇴화⋅부활⋅역전 등 4개 단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아카이브 플랫폼의 국내 현실을 파악하고 미래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운영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중심어 : 방송영상아카이브, 미디어 테트라드, 아카이브 개방공유, 아카이브 활용 ※ 본 연구의 저작권은 연구자에게 있으며, 무단 복제나 발췌 등 저작권 위반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본 연구보고서는 본회의 연구지원 약정에 따라 연구자의 동의를 얻어 게시하였음을 밝힙니다. |
|||||
다음글 | 재난 보도 영상 화면의 피해자 묘사에 대한 뉴스 이용자의 뉴스 가치 평가 | 2024-07-16 | |||
이전글 | 뉴스의 플랫폼화와 감정의 분위기, 그리고 사회의 마음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