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방송문화발전을 위한 방송연구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보고서입니다.
제목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게시일 2024.07.16 조회수 757 번호 171
첨부파일 05. 정회경, 현기택, 최효진.pdf

■ 연구명 :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 연구자: 정회경(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교수), 현기택(MBC 뉴스영상2팀), 최효진(한국외대 정보기록학연구소 책임연구원) 

본 논문의 목적은 방송사의 공적 역할 강화와 영상창작 활성화의 관점에서 미 디어 테트라드 4단계를 중심으로 방송사 아카이브 공개와 활용의 효과를 분석 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에 공공 방송영상아카이브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 존 방송사의 아카이브가 외부 창작자에게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방 송사가 자사 아카이브를 영리적으로 개방해 외부 창작자들과 공유하는 효과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국⋅공립 기관의 방송영상아카 이브 플랫폼을 선정해 기관 운영, 플랫폼에 공개된 콘텐츠, 플랫폼의 기능요건 및 서비스 품질 등을 살펴보았다. 아카이브 플랫폼은 설립 배경, 운영 연차, 창작자들의 이용률 등을 기준으로 해외 3개 플랫폼, 국내 2개 플랫폼을 대상으 로 조사했다.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한정적인 콘텐츠와 단순화된 기능요건 의 아카이브 플랫폼에서 방송사의 영상자료가 외부에 개방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향후 대안적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테트라드 모델을 토대로 방송영상아카이브의 미래 를 살펴보는 심층인터뷰를 국내 아카이브 플랫폼 운영자 및 이용자 8명을 대상 으로 진행하여, 방송영상아카이브가 하나의 미디어 시스템으로 등장해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장⋅퇴화⋅부활⋅역전 등 4개 단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아카이브 플랫폼의 국내 현실을 파악하고 미래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운영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중심어 :  방송영상아카이브, 미디어 테트라드, 아카이브 개방공유, 아카이브 활용

※ 본 연구의 저작권은 연구자에게 있으며무단 복제나 발췌 등 저작권 위반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본 연구보고서는 본회의 연구지원 약정에 따라 연구자의 동의를 얻어 게시하였음을 밝힙니다.

다음글 재난 보도 영상 화면의 피해자 묘사에 대한 뉴스 이용자의 뉴스 가치 평가 2024-07-16
이전글 뉴스의 플랫폼화와 감정의 분위기, 그리고 사회의 마음 2024-07-16